한빛미디어에서 아주 재밌는 책이 발간되었다. Microservices Up & Runing 처음 시작하는 마이크로서비스인데 마이크로서비스 초심자를 위해 정말 많은 것을 가득 차린 준비된 밥상 느낌이다. 마이크로서비스 개론부터 쿠버네티스, 헬름, 깃옵스 배포 도구로 Argo CD, 그리고 Infrastructure as Code(IaC) 도구인 테라폼까지. 단숨에 훌훌 넘어간다. 소프트웨어 구축의 결정을 기록하는 아키텍처 결정 기록(Architecture Decision Record:ADR) 작성을 시작으로 마이크로서비스 팀 설계, 팀 토폴로지를 만들기까지 아주 자세하게 다룬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를 구축, 운영하는 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핵심 요소가 책 구석구석에 드러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 소유권 - ..
인스타그램 시작과 성공 - 노 필터는 오랜만에 읽은 교양서적입니다. 개인 SNS의 타임라인에서 많은 지인들이 극찬한 책이라 호기심 반으로 구입하게 됐습니다. 전공서적 읽을 시간도 부족한 요즘인데 결과는 아주 만족스럽네요. 페이지를 넘기는 즐거움이 있었습니다. :) 인스타그램은 10대부터 50대까지 전 세계적으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SNS입니다. 이미지를 공유하는 기본 컨셉의 SNS인 인스타그램, 그 창대한 시작과 끝(현재)을 아주 가까이서 엿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인스타그램은 가입만 해놓고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고, 역사도 잘 몰랐습니다. 페이스북에 인수됐던 사실만 기억하고 있었죠. 하지만 이 책을 읽는 데는 아무 문제없습니다. 책을 덮고 나니 두 가지 생각이 드는데요, 첫 번째로 창..
리더, 리더십과 같은 책은 시중에 많이 있다. 이번에 한빛미디어에서 출간된 실리콘밸리 리더십은 과연 특별함이 있을까? 많은 리더십 책중에 이 책을 읽어야 할 필요가 있겠냐는 거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일독을 권한다. 다만, 지나치게 리더십에 몰입해서 접근하기보다는 소개되는 짤막한 사례를 소설 읽듯이 훌훌 읽으면 좋다. 그만큼 가볍게 읽히는 책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인사이트는 묵직하다. 책의 구성은 3개의 부로 나뉘어 있다. 관리자를 위한 1부와 임원을 위한 2부, 그리고 경영자를 위한 3부이다. 도입부에서는 이 책을 어떻게 읽으면 좋을지 안내해주고 있다. 굳이 첫 장부터 시작해서 읽을 필요가 없으며 목차에서 관심 있는 주제로 바로 넘어가서 읽기 시작해도 된다. 전반적인 내용은 큰 줄기로 이어지는데 관..
마이크로서비스와 관련해서 여러 가지 책과 블로그 글을 봤지만 이렇게 담백하게 팩트로 때리는 책은 처음입니다. 실제 마이크로서비스를 도입하며 겪게 되는 문제(현상)와 그걸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가 정답이 아니라는 이야기도 덤덤하게 적혀있어요. 혹시 유행 따라 마이크로서비스 도입을 검토하고 계신가요? 이 책을 추천드립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도입 이렇게 한다 마이크로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적인 생각들이 책에 잘 정리되어 있어서 인용해봅니다. 시스템을 설계하는 모든 조직은... 불가피하게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본떠 시스템 구조를 만들어 낼 것이다. - 멜빈 콘웨이 조직의 구조가 때로는 시스템(서비스)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특히 빠르게 발전하는 서비스의 경우 특히 더욱 그렇죠...
한빛미디어에서 SQL 튜닝을 정말 쉽고 친절하게 알려주는 책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업무에 바로 쓰는 SQL 튜닝"인데요, 이전에도 한빛미디어에서 SQL 관련된 책은 여럿 출판된 이력이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가 아마 대표적일 것 같네요.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레시피는 데이터 엔지니어를 위한 책이었다면 이번 SQL 튜닝 책은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모두를 위한 책입니다. 심지어 SQL 입문 서적으로도 손색이 없어 보입니다. 튜닝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알려주거든요. 첫 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숨도 안 쉬고 단숨에 읽을 정도로 재밌습니다. 딱 하나 유일하게 아쉬웠던 점은 실습환경이었는데요. MySQL을 로컬 PC에 설치하는 방법을 다루고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
아직 한국에서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파이썬을 다루는 곳은 흔하지 않다. 서비스가 궤도에 오르기 전이거나 MSA의 일부분으로 선택되는 경우는 종종 봤지만 말이다. 아 물론, 여기서 이야기하는 부분은 서비스의 백엔드이다. 데이터 엔지니어링이나 머신러닝을 다루는 분야에서는 단연 파이썬은 독보적인 언어니까. 아무튼, 이런 시국에 한빛미디어에서 아주 묵직한 책이 나왔다. 무려 "Architecture Patterns with Python" TDD, DDD, EDM까지 적용한단다. 1부는 비교적 가볍다. 도메인 모델링을 지원하는 아키텍처 구축이라는 제목 아래 저장소 패턴과 추상화, 작업 단위 패턴을 이야기한다. 가볍지만 익숙하지 않다면 호락호락하지 않다. 파이썬 문법이야 당연히 아주 잘 알고 있다는 전제로 내용이..
국내에는 GCP( Google Cloud Platform )와 관련된 책이 워낙 귀하다 보니 이번에 한빛미디어에서 발간된 "이야기로 배우는 구글 빅쿼리"는 반가울 수밖에 없다. 게다가 빅쿼리에 포커싱 된 책이라니! 빅쿼리는 위키백과에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빅쿼리는 페타바이트급 이상의 데이터에 대해 스케일링 분석을 가능케 하는 완전 관리형 서버리스 컴퓨팅 데이터 웨어하우스이다. 빅쿼리는 2010년 5월 발표되었으며 2011년 11월 일반에 공개되었다 데이터 다루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어쩌면 생소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BigQuery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AWS의 Redshift와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다. 더욱이 Google Cloud 하면 빅쿼리가 연상될 정도의 GCP의 대표적인..
이번에 시의적절하게 아주 재밌는 책을 리뷰하게 됐다. 바로 "배워서 바로 쓰는 14가지 AWS 구축 패턴". 현재 재직하고 있는 회사에서 AWS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Container Service와 DW를 위해 Redshift를 들여다보고 있는 와중에 만난 책이다. 과거에도 물론 퍼블릭 클라우드를 여럿 사용해왔지만 이 책이 반가웠던 이유는 여러 가지 실제 사례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책의 앞 부분은 클라우드가 처음인 독자를 위해 아주 섬세한 부분까지 설명을 해준다. 리전, 네트워크, VPC 등. 그리고 EC2 인스턴스 생성부터 차근차근 첫 단추를 꿰어간다. 순간 "이 책 입문서 아니야?"라는 생각이 들 정도. 하지만 방심하지 마시라, 책의 진도는 순식간에 나간다. 서비스 구축에 가장 흔하면서 일반적인..
이번에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AWS 환경에서 개발하면서 여러 가지 개념을 접했다. 특히 ECS(elastic container service)를 깊이 있게 보고 있는데 GCP에서 GKE(google kubernetes engine)를 살짝 다뤄봤던 경험 덕분이 많은 도움이 됐다. 아무튼, VPC부터 Security Group 등 알고 있는 개념들을 정리할 겸 책을 꺼내 들었다. 합리적인 구성으로 담백하게 쓰인 책이다. 특히 책의 제목처럼 "입문"을 위해 클라우드 시스템이란 무엇인지부터 퍼블릭 클라우드의 종류와 컴퓨팅 등 다양한 개념과 기초지식을 초반에 잘 풀어내 주고 있다. 주요 목차는 다음과 같다. 1장. 클라우드의 역할 2장. AWS 기본과 계정 등록 3장. Web 서버 구축 4장. Web 애플리케이션..
이번에 한빛미디어 도서 서평단으로 받은 "처음 배우는 셸 스크립트". 우선 번역서가 아니라 저자가 한국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서를 읽으면서 이따금씩 찾아오는 괴로움이 없다. (한글을 읽고 있는데 영어를 읽는 느낌) 국내에 셸 스크립트 책이 얼마나 있는지는 잘 모른다. 알고 싶지도 않았고. 왜냐하면 그동안 셸 스크립트는 온라인에서 풍성하게 찾아볼 수 있었고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받아들여지지 않기 때문에 따로 공부해야 하는 필요성은 못 느꼈기 때문. 말은 이렇게 하지만 첫 직장이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던 회사였기 때문에 현업에서 선배들에게 치이며 셸 스크립트를 몸으로 익혔었다. 아무튼, 이 책을 처음 받았을 때는 "아, 이번에 리뷰 대상인 책들 재밌는 거 많던데 하필 다 아는 내용만 있을 셸 스크립트 책이..
AWS, Google Cloud Platform, Azure 등 퍼블릭 클라우드가 서비스로 흘러들면서 효율적인 인프라 관리를 위한 방법이 화두가 되었습니다. 서버 운영, 관리에 조예가 깊은 개발자라면 잘 알겠지만 애드 훅 스크립트를 통한 서버 관리는 대안이 없던 그 시절 매우 효율적인 것처럼 보였습니다. 요즘은 애드 훅 스크립트를 넘어 다양한 도구들이 쏟아지고 있는데 그 중심에 Terraform(테라폼)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테라폼은 대표적인 코드형 인프라(Infrastructure as Code: 이하 IaC)로 서버 프로비전 도구입니다. 이 책에서는 서버 관리를 위한 다양한 도구를 설명하고 테라폼과 비교합니다. 그리고 테라폼의 기본적인 철학과 사용법, 나아가 고도화 전략을 다룹니다. 책..
한빛미디어에서 발간된 컨테이너 보안(Container Security)이라는 책을 리뷰어로 받아보게 됐다. 시중에 도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등으로 다양한 책이 있지만 이 책은 그중에도 특별하다. 컨테이너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안에 내용을 심도 있게 다뤄나간다. 그 과정에서 보안에 취약한 부분들을 깨우칠 수 있게 돕는다. 단순히 책의 제목에 있는 "보안"이라는 키워드만 생각하고 접근하지 않아도 된다. 컨테이너를 심도 있게 파헤치고 싶다면 추천한다. 우선 이 책의 대상 독자는 다음과 같다. IT 분야의 어느 부분에 종사하던 사물의 작동 방식을 자세히 파헤치길 좋아하고 리눅스 터미널에 익숙한 사람 컨테이너에 어느 정도 익숙하고 토커나 쿠버네티스를 사용해 본 적이 있는 사람 예를 들어 "레지스트리에서 ..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우리는 알게 모르게 데이터 모델링을 다루고 있다. 특히 구조화가 잘 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를 들여다 본적이 있다면 데이터 모델링에 조금은 가까워져있으리라. Blog2Book 에서 나온 프로젝트 성패를 결정짓는 데이터 모델링 이야기 덕분에 추상적으로만 알고 있던 개념을 글로 잘 정리 해볼 수 있었다. Blog2Book은 등장인물을 만들고 대화를 통해 프로젝트를 배워가는 구조로 책을 구성한다. 신입사원이나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친구(나한빛처럼)가 등장하고 가이드 해주는 시니어(정수석)을 등장시킨다. 둘의 대화를 통해 기술을 배워나가는게 특징이다. 책의 내용은 주로 RDB(Relational Databas..
요즘 계속 한빛미디어를 통해 지원받는 책만 읽다가 #내돈내산 책을 리뷰하게 됐다. 2020년 크리스마스와 연말에 어떤 책을 읽을까 고민하던 차에 선택한 책은 클린 코드. 미리 결론을 말하자면 괜히 개발자 필수 서적이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 (스포하자면 클린 아키텍처를 세트로 구매했고 다음 리뷰 대상이다) 2013년 초판 발행 이후 2020년 7월 31일 7쇄가 발행됐고 그 과정에서 표지에도 변화가 있었다. 무엇 때문에 이 책이 개발자 필수 도서일까?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과 비슷한 책은 많다. 그런데도 이 책이 주목 받는 데는 이유가 있다. 일단 명료하게 내용이 전달된다. 일부에는 저자 개인의 생각을 분명히 밝히고 들어간다. 다만,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사람에게는 이 책을 권하지 않는다. - 자바를 다뤄..
이번에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를 통해 받게 된 책은 처음 배우는 스위프트 이다. 마침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스위프트를 통해 iOS 네이티브 앱을 유지보수 할 일이 있었는데 이 책을 받고 환호했던 날이 기억이 난다. 본인은 백엔드와 인프라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사람이지만, 작은 스타트업에 재직하다보니 때로는 프런트엔드를 하기도 하고,.. 요즘은 iOS 개발자의 퇴사로 인해 소소한 유지보수는 직접 하고 있던터였다. 아무튼, 여러 영역에 거쳐 개발을 해오다보니 감이 있어서 xcode( iOS 개발 툴, intellij 같은 IDE)를 열고 적당히 화면에 보이는 영역의 소스코드를 찾아서 수정하는 건 어렵지 않다. 하지만 새로 뭔가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iOS 사용되는 개발 패턴을 알아야 하고 UI 와 유기적..
한빛미디어의 3분 딥러닝 시리즈에 파이토치맛이 추가 되었다. 다른 3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딥러닝의 여러 기법들을 소개하는 큰 줄기로 책이 구성된다. 그 중심에는 파이토치가 있다. 파이토치는 페이스북 주도로 여러 회사와 대학이 합심해 개발한 오픈 소프트웨어이다. 텐서플로우 이후 탄생한 딥러닝 프레임워크로 텐서플로우에서 아쉬웠던점들이 상당부분 보완되어 탄생했다. 아마 내가 처음 파이토치를 접한 건 파이토치로 구현된 deepspeech2 를 들여다보고 커스터마이징 했을때같다. 딥러닝의 기법들을 상당히 직관적으로 풀어내고 있기 때문에 코드를 이해하는데도 큰 어려움이 없었다. 책 중간이 [재미로 보는 파이토치 관련 숫자]가 있는데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채워져있다. 2019년 8월 25일 기준으로 파이토치와 관련..
장마 때문에 빗소리가 우렁찬 밤에 위대한 역사를 읽어내려갔다. 속독했다고는 하지만 주말 한 시간이 눈 깜짝할 사이에 사라졌다. 한빛미디어에서 내놓은 유닉스의 탄생이 바로 그 원인이다. 십수년간 IT 업계에서 커널 개발을 시작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백엔드 개발, 인프라와 보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항상 *NIX가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인 관심으로 *NIX 관련해서 여러 문헌을 읽었지만, 이 책은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모든 관심사의 종합 본이다. 저자인 브라이언 커니핸은 30년 동안 벨 연구소의 컴퓨팅 과학 연구 센터에서 일했는데 그가 지켜본 역사를 이 책에 녹여냈다. 어쩌면 자서전처럼 보일지도 모르는 책이지만 덤덤하게 이야기하는 역사에 소름이 끼칠 지경. 그의 과거 행적을 현재의 내가 누리고 있다. 근래에 ..
한빛미디어 리뷰어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받은 팀 개발을 위한 Git・GitHub 시작하기 책은 아주 재미있다. 오래전부터 공식 도큐먼트를 통해 충분히 봐온 명령어, 그리고 특히 현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친근한 명령어와 사이트(GitHub)를 이 책은 어떻게 표현하고 있을까. 이 책은 표지에서 표현하는 것처럼 GUI 환경을 통해 친숙하게 접근하고, CLI 환경으로 실제 어떤방식으로 동작 하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아마 레포지토리를 처음 사용하는 개발자에게는 최고의 선물이지 않을까? 다만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책에서 다루는 GUI 부터가 생소한 사람이라면 ... 아 아니다. 애초에 모든 독자층을 커버 하기란 쉽지 않으니까. 특히 풀컬러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의 친절함은 많은 뉴비 개발자에게 단비와 같을 것이다...
한빛미디어를 통해 발간된 번역서 "배워서 바로 쓰는 스프링 부트2" 책을 리뷰 이벤트를 통해 받아보게 되었다. 재미있는 배경이 있는데 본인이 최근에 맡은 신규 프로젝트가 스프링으로 구성되었고, 덕분에 스프링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그 후로 스프링 개발을 5개월 정도 하고 다른 업무(PM)를 진행하게 되어 스프링에 대한 감을 잃어가고 있었다. 원래 빠르게 익힌 것은 빠르게 잊게 된다는 말처럼 실무에서 실력자들(십수 년 자바&스프링으로 개발을 해오신 고수들)에게 어깨 넘어 배웠던 내용들이 머릿속에 오래 남아있지 않았던 것 같다. 아무튼, 다시 스프링을 통해 업무를 처리하고 감을 되찾아야겠다고 생각하는 찰나에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이 책을 처음 본건 페이스북 광고를 통해서인데, 댓글에 작성되어 있던 비판적..
"개발 7년차, 매니저 1일차"는 한빛미디어 리뷰 이벤트 덕분에 받아보게 된 매니저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이 굉장히 흥미로운 점은 개발자가 매니저 역할로 돌아서면서 심리적으로 두려워하는 부분, 우려하는 포인트 그리고 역할 등에 대해서 잘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령 매니저가 정말 개발자의 무덤인지, 팀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갈등은 어떻게 해소해야 하는지와 같은 이야기가 잔뜩 실려있다. 특히, Tech Lead, Manager, Team Lead, Tech Manager, CTO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기회를 준다. 그리고 각 위치에 따라 결정해야 하는, 혹은 맞이하게 되는 미션과 방향을 해소해주는 아주 재밌는 책이다. 예를 들어 단순히 "매니저가 됐으면 1 on 1을 해야 한다"에서 끝..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