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viders, resource, data, module 등을 묶어서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약어, 키워드 등으로 볼 수 있을 텐데 여기서는 키워드라고 통칭하도록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라폼에서 통용되는 키워드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합니다. # providers 테라폼은 docker, AWS, GCP 등 2021년 02월 기준으로 700개가 넘는 다양한 프로바이더를 제공합니다. 그중 핵심이 되는 것은 아래처럼 퍼블릭 클라우드와 쿠버네티스입니다. 이런 프로바이더를 providers 블록을 통해 선언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registry.terraform.io/browse/providers # resource resource는 ..

이번 글에서는 테라폼에서 통용되는 주요 키워드를 통해 테라폼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테라폼은 크게 configure, plan, apply 세 가지의 단계가 있습니다. 풀어서 보자면 설정(configure)하고 실행 계획(plan)을 살펴본 후에 배포(apply)하는 구조입니다. 실행 계획이라고 하면 SQL에서 explain을 생각하면 되고 apply는 배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eploy 키워드를 생각하면 됩니다. 여러 팀원이 인프라를 같이 만지더라도 VCS에 의해 인프라가 관리되기 때문에 충돌을 피해 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사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같은 인프라를 만지는 상황 자체가 정상은 아니지만 말입니다. configure 설정은 HLC(Hashicor..

인프라가 복잡하고 특히 development, staging, production 환경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회사라면 IaC 도입이 필수입니다. 테라폼은 hashicorp에서 개발된 인프라 스트럭처를 효율적으로 구축, 변경, 관리하기 위한 도구(IaC)입니다. hashicorp은 한국에서 하시코프로 많이 통용됩니다. 앞에 hash를 보고 해시콥 이라고 읽어도 적당히 대화는 되지요도입 이후 기대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pros 인프라 변화 과정, 히스토리를 사용 중인 버전 관리 시스템(VCS)을 통해 형상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면 애플리케이션을 형상관리 했을 때와 완벽하게 동일한 이점을 갖게 됩니다 누가, 언제, 왜 인프라를 변경 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리..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