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는 글입니다. 글에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인상을 쓰기보다는 제가 상처받지 않도록 부드럽고 자유롭게 의견 부탁드립니다. :-) # 마스터, 노드, 파드(pod) 개념 잡기 쿠버네티스의 가장 큰 핵심 기능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다. 여러 개의 컨테이너의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한다는 의미인데 트래픽의 증가 처럼 리소스가 더 필요한 상황이 되면 컨테이너를 증설(일종의 스케일-아웃 / 수평 확장)하기도 하고, 비정상 상태에 빠진 컨테이너를 종료하거나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개념이다. 오케스트라에서 지휘자가 단원들을 지휘 하듯이 말이다. 이렇게 컨테이너를 오케스트레이션 가능하게 만드는 첫 번째 개념이 컴포넌트 집합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바로 "마스터 ..

해외 문자를 발송하기 위한 솔루션을 리서치해보니 국내외로 여러 업체가 있는데 국내 업체는 영 탐탁하지 않은 구석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서비스의 얼굴이 되는 홈페이지 자체가 HTTPS를 지원하지 않는 곳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해당 업체에 대한 신뢰도가 확 떨어진다. 그리고 DB - AGENT 방식으로 지원하는 곳은 일단 탈락. 발송 인프라 관리의 주체가 유저가 되어서는 안 된다. 이건 혹여라도 AGENT 문제로 장애가 발생하면 입증하는 것도 골치 아프기 때문이다. DB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더 피곤한데 그 책임이 온전히 우리한테 있게 되니 최소 이중화 구성까지 신경써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 전체 인프라가 솔루션 업체에서 관리 되는 곳을 찾는게 좋다. 그런 면에서 봤을 때 이런 부류의 서비스를 제..

데이터베이스 연결 도구로 그동안 Sequel Pro를 사용해오고 있었는데 프로그램이 죽어도 너~무 잘 죽습니다. 프로그램이 툭하면 멈추고 종료되는 현상 때문에 업무 때문에 마음 조급할 때는 한없이 스트레스를 받고는 했는데요, 아무튼 Mac 스럽게 깔끔한 GUI가 마음에 들어서 버텨보려고 했으나 이제 그 한계가 찾아온 듯해서 대안으로 DBeaver라는 툴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Sequel Pro의 경우에는 MySQL 서버만 연결할 수 있고 PostgreSQL 연결을 위해서는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예를 들면 PSequel 같은 도구를 말이죠. Sequel Pro와 상당히 유사한 UI 때문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은 없지만 MySQL과 PostgreSQL 두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클라이언트 ..

알리바바 클라우드 포럼 2019 "광군제 기적, 클라우드의 힘"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최근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관심이 생기면서 콘퍼런스 개최 소식을 듣고 반가운 마음에 다녀올 수 있었는데 이번 행사는 11월 11일 광군제가 끝난 직후라 관련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특히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사실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해 다뤄지는 내용은 다른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의 일반적인 내용과 다를 게 없지만 대규모 트래픽을 감당해낸 실제 사례가 다뤄지니 이건 재미없을 수가 없는 내용이죠. 조금 늦게 도착한 행사장에는 여느 콘퍼런스처럼 부스가 마련되어 있었고 포토존도 있었는데 조금 늦게 도착해서 서둘러 행사장으로 들어가기 바빴습니다. 이미 행사의 열기가 후끈했는데요, 안내를 받고 편한 자리에 착석..

2018년 회고는 분기별로 작성했는데 올해는 1월부터 12월까지 있었던 큰 꼭지로 이야기를 풀어봤고, 불특정 다수에게 보이기보다는 저 스스로 훗날 들춰보고 반성할 수 있는 일기 느낌으로 작성했습니다. 일 년이라는 시간 동안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네요. 며칠 동안 작성한 내용인데 지난 시간을 돌이켜보는 아주 좋은 계기가 되었습니다. :-) # 대용량 채팅 서버와 동고동락 오디오 플랫폼에서 사용 중이던 채팅 서버를 Scala+akka 기반으로 리뉴얼했습니다. 서비스가 앞으로 더 확장되면 기존에 있던 채팅 서버로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akka기반의 대용량 채팅 서버를 두 달여간 개발해서 작년 말부터 서비스하기 시작했습니다. 작년 크리스마스는 서버 모니터링과 함께 했는데 Grafana 그래프가 출..

올해는 총 세 편의 회고를 작성할 예정인데 그 첫 번째는 커뮤니티 회고이다. 2018년 말부터 GDG[1] Cloud Korea 에서 오거나이저로 활동을 했으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게 올해부터니까 이제 일 년 정도 됐다고 볼 수 있다. 일 년을 돌이켜보며 Cloud 챕터 안에서 본인의 일 년간 주요 활동 지표를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행사 주최, 발표, 기타로 나눌 수 있는데 아래와 같다. # 주최한 행사 -3월: GCP 개강파티 -4월: Next’19 Extended Korea -8월: Next’19 in Tokyo Extended -11월: GDG의 골목 클라우드 # 발표 -4월: Next’19 Extended Korea -5월: Next Recap 커뮤니티 라운지 라이트닝 톡 -7월: I/O Ext..

웬만하면 그냥 있는 그대로 쓰겠는데 블로그의 기본 중에 기본으로 취급되는 이미지 붙여 넣기 과정에서 툭하면 글쓰기 화면이 멈춘다. 장문의 글까지 이미 써놓은 상태라면 환장한다. 임시저장 기능은 제대로 동작하는지도 의문. 이 정도면 QA 조직이 없는 건지 아니면 개발 조직이 그냥 문제인지. 내가 티스토리에 대체 뭘 기대한 건지, 이번에 개편된 티스토리 모바일 앱은 여전히 웹 버전과 폰트부터 차이를 가져오고 있고... 그냥 PC에서 쓴 글 편집하는 정도로만 앱은 써야 할 듯. 같은 업종에 종사하면서 좋은 게 좋은 거라고 넘어가고 싶지만 진짜 한두 번이 아니잖아. MacOS에서 열 번에 한 번은 멈추는데 지금 티스토리 글쓰기 테스트는 하고 배포된 건가 하는 의문이 든다. 진짜 너무 하는군. 브런치를 밀어줄 거..

중국에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에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베이징을 다녀와 보니 아래와 같은 내용들이 보여서 메모. - 구글 제품이 내 업무나 생활에 얼마나 깊게 들어와 있는지 체감했음. 말로만 듣던 것과는 다른.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라이브러리 사용도 막혀버림. - 구글 지도가 막혀서 대안으로 애플지도를 사용해봤는데 꽤 강력해서 만족스러움. 한국에서도 앞으로 계속 이용할 듯. - bing은 아직 중국에서 서비스가 잘 되니 번역은 그냥 translate.bing.com을 사용하면 됨 - 파파고 번역은 비교 지표가 없어서 아쉽지만 가야 하는 길이 많이 남은 듯. 8할은 제대로 대화가 안 되는 듯 - 번역의 질을 좌우하는 제일 중요한 건 원본 문장을 번역이 잘 되게끔 어떻게 잘 만드는지. 향후에는 tr..

딥러닝 알고리즘의 하나인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을 소개하고 실전 프로젝트에 도입해볼 수 있는 책이 한빛미디어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책 제목은 Generative Deep Learning - 미술관에 GAN 딥러닝 실전 프로젝트 책은 크게 두 개의 파트로 나뉘는데, 1) 생성 딥러닝을 소개합니다 2) 컴퓨터에게 그리기, 글쓰기, 작곡하기, 게임을 가르칩니다 로 구분됩니다. 파트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1부는 Generative Deep Learning 뿐만 아니라 딥러닝에 대해서도 한 챕터를 할애해서 다루지만 핵심 주제는 GAN이라 심도 있게 다루지는 않습니다. 기본적인 딥러닝에 대한 개념은 역자의 다른 책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책은 케라스와 텐서플로를..

Maven은 아파치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중앙에서 프로젝트의 빌드, 리포팅, 문서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자바나 스프링 등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게 되면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도구가 메이븐인데 MacOS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한다. Maven의 설치 시작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시작된다. 여기 링크를 접속하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파일 목록이 확인되는데 대략 아래와 같다. Maven 설치를 소개하는 많은 글에서 Other mirrors를 선택해서 속도가 빨리 나오는 사이트를 선택하라고 하지만 굳이 그럴 필요 없다. 용량 자체가 10MB 남짓이라 미러 사이트 찾아보는 시간에 클릭했다면 진작 다운로드가 완료된다. 아무튼, 아래 빨간 박스로 표시한 곳에 있는 파일을 적당히 다운로..

Rancher는 오픈소스 Kubernetes 멀티 클러스터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입니다. 단 두 가지 과정만으로 사용 가능한데요, 첫 번째로 서버를 준비하고 Docker를 설치해둡니다. 서버는 우분투 16.04, 18.04를 권장합니다. 혹시 다른 OS를 사용 중이라면 여기를 참고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과정은 아래와 같이 docker 명령어를 사용해서 rancher를 실행시킵니다. docker run -d --restart=unless-stopped -p 80:80 -p 443:443 rancher/rancher 실행하면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고 rancher가 실행됩니다. 이제 localhost로 접속해보면 다음과 유사한 로그인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최초 접근 시에는 계정을 생성하는 과정부터 ..

GCP를 사용하면서 가장 유용한 것 중에 하나가 GCP의 모든 기능을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gcloud SDK인데요, 알리바바 클라우드에도 이러한 SDK가 존재합니다. aliyun이 바로 그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aliyun을 빠르고 쉽게 설치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MacOS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brew 명령어를 통해 설치가 가능합니다. AWS, GCP보다 이 부분은 굉장히 잘 되어 있네요. brew install aliyun-cli brew를 사용하는 게 아니라면 파일을 GitHub에서 직접 다운로드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 링크에 접속해서 보면 Linux, MacOS, Windows 버전의 실행파일을 제공해줍니다.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Linux, MacOS ..

한빛미디어에서 발간된 나는 LINE 개발자입니다를 나는 리뷰어다 이벤트를 통해 받게 되었다. 사내 도서로 취급될만한 책이 출판사를 통해 일반 서점에 보이는 이유가 그전부터 살짝 의아하고 궁금했었는데 리뷰를 하면서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 하지만 여전히 긍정적인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 책은 라인 개발자 12명의 커리어패스를 소개하는 큰 줄기를 갖고 쓰여있다. 이제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회로 진출하려는 사람들이나 나름 업계에서 성공한 것으로 취급되는 멘토를 찾는 사람들에게는 안성맞춤인 책이 될 수 있겠다. 예전에 즐겨 듣던 라디오에서 사연을 듣는 느낌이랄까? 결국 대부분의 내용이 기-승-전-라인만세 느낌이라 살짝 거부감은 들지만 어쩌겠는가. 책 제목부터가 LINE을 소개하고 있는 것을. 그런 점을 감안..

(*) IT 기술 블로그 RSS를 받고 계신 분께는 죄송한 글입니다. 이번 글은 IT와는 무관한 글이므로 뒤로 가기 눌러주세요 ^^; 늦은 여름휴가로 양평에 있는 블룸비스타 콩순이 패밀리룸을 다녀왔습니다. 아이가 평소 차멀미가 심한데 양평 도로 특성상 심하게 구불거리고 방지턱이 많아서 고생 좀 했습니다. 내비게이션이 쉴 틈 없이 "급커브 구간입니다", "방지턱 구간입니다"를 연발하는 게 대단했습니다. 도로 밖 풍경은 남한강과 11월의 단풍으로 울긋불긋했지만 경치를 감상하는 게 사치로 느껴질 만큼 온 신경이 아이에게 집중되어 있었네요. 아무튼, 어렵게 도착한 호텔 캐릭터룸에서 아이가 좋아하는 모습을 보니 멀리까지 고생해서 온 보람이 있었습니다. 나름 4성급 호텔답게 깔끔한데 사진으로 만나보시죠. 외부에서 ..
알리바바 클라우드에 등록되어 있는 payment method( 카드 등 )는 삭제가 안됩니다. 보통 다른 클라우드처럼 결제계좌만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고 account 삭제만 존재합니다. 이는 미결제 금액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사실 계정을 삭제하려고 해도 이미 사용 중인 리소스가 있다면 그런 부분들을 해결해야 정상적으로 계정 삭제가 완료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계정 삭제는 보류하고 일단 결제계좌만 잠시 멈춰놓고 싶었는데 그럴수 없어서 극단적으로 탈퇴를 해야만 했네요. 참고 : https://www.alibabacloud.com/forum/read-1357

국내에서 유명한 메이저급 퍼블릭 클라우드에는 amazon에서 서비스하는 AWS, microsoft의 azure, 그리고 Google의 GCP 정도가 있겠는데요, 그래서 클라우드를 고민하고 이전하는 대부분 기업들의 선택지는 위 세 곳 중에 하나가 될 겁니다. 하지만 중국에 서비스하려면 중국의 네트워크 특수성 때문에 결국 알리바바 클라우드를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겠습니다. 우리는 언제 어떤 상황에서 알리바바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될지 알 수 없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알리바바 클라우드를 가입하는 과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합니다. 요약하면 회원가입 - 개인정보 입력 - 계좌 연동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그럼 시작해봅시다. 우선 알리바바 클라우드 페이지로 접속을 합니다.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텐데 우측..

Google Cloud를 사용하다 보면 배포나 컴퓨팅 제어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터미널에서 gcloud SDK를 사용하게 됩니다. gcloud에 모든 명령어는 프로젝트 단위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개발/스테이징/상용과 같이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터미널에서 프로젝트를 전환하며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그 환경을 gcloud에 연결하는 방법과 전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제 GCP 계정 안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개의 프로젝트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데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부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우측 상단에 NEW PROJECT 버튼을 누르고 프로젝트 이름을 blog-project로 입력한 이후에 CREATE 버튼을 통해 신규 프로..

이번에는 GCLB( Google Cloud Load Balancer )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일반적으로 LB는 서비스로 유입되는 부하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WS, Google, Azure 퍼블릭 클라우드 3사 모두 해당 기능을 제공하지만 가격 등의 이유로 HAProxy 등을 가상 머신에 설치해서 LB 역할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머신의 정해진 스펙 때문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트래픽에 빠른 대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겠습니다. 또한 조직의 누군가가 서버를 관리해야 하는 만큼 고가용성 보장이 어렵습니다. LB는 프러덕트 최전방에 있는 만큼 절대적으로 고가용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요, 이런 서비스일수록 클라우드에서는 Managed service, 여기서는 GCLB를 사..

# 웨일 유저 브라우저는 크롬만 고집해오다가 웨일로 갈아타서 클로즈 베타 때부터 사용해왔다. 처음에는 크롬 북마크 마이그레이션이 지원돼서 허들이 높지 않아서 좋았고 브라우저 화면을 분할하는 스페이스 기능과 사이드바로 모바일 웹을 사용하는 게 내게는 무척 큰 매력으로 다가왔다. 거기에 마우스 액션까지 가능한 부분이 좋았지만 스페이스와 사이드바 이 두 가지 기능을 제외하고는 크롬과의 큰 차별성은 느끼지 못했다. # 웨일 연구소 사실 웨일이 마음에 들었던건 웨일 연구소를 통해 브라우저 담당 개발자와 직접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는데 오픈하고 초창기에는 연구소를 통한 기능 제안이나 버그 제보,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티를 통한 레벨 시스템도 흥미를 유발하는데 충분했다. 하지만 이제 꽤 시간이 흘렀고 사용자..

이번에는 GCP( Google Cloud Platporm )의 IaaS를 담당하는 Compute Engine의 인스턴스, 인스턴스 그룹, 인스턴스 템플릿,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과정이 끝나고 나면 GCLB( Google Cloud Load Balancer )까지 자연스럽게 연결이 될 겁니다. 하지만 LB에 대한 건 다음 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고 이번 글은 인스턴스에 초점을 맞춰보겠습니다. # 미리 보기 아래 이미지를 떠올리면서 글을 읽으시면 도움이 됩니다. 결국 이미지로 인스턴스 템플릿을 만들고, 템플릿으로 그룹을 생성해서 Auto Scaling시에 사용한다는 건데 여기 인스턴스를 Source로 다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 인스턴스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