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에서 윈도우의 특정 폴더를 마운트 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우선 윈도우의 특정 폴더를 마운트 하기 위해서는 접근 권한이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마운트 하고자 하는 폴더를 공유 폴더로 지정을 합니다. 아래와 같은 폴더들이 있고 mountME 라고 하는 폴더를 CentOS에서 마운트 할겁니다. 우선 mountME 폴더에 우클릭을하고 속성으로 진입합니다. 이어서 공유를 클릭합니다. 공유할 사용자를 선택하고 공유 버튼을 클릭합니다. 정상적으로 공유가 되었음을 확인하고 완료합니다. 다음 고급 공유를 통해 폴더의 권한을 설정합니다. 특별한 내용이 없으면 패스해도 상관 없습니다. 고급 공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변경/읽기에 대한 내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디버깅 방법에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사건이 발생 했을때 바로 무언가를 남겨주는 것이 최고의 디버그 메시지가 아닌가 싶다. 관련해서 backtrace 와 addr2line 을 소개하도록 한다. 일단 관련 된 소스는 아래와 같다. 소스의 95%가 vim에서 제공되는 backtrace의 man page 내용이다. 해당 소스는 문제가 있고 죽도록 설계(?)되어 있다. (man page의 오리지널 소스가 그렇다는 것은 아님)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 sig ==> signal number */ void calltrace(int sig) { int j, nptrs; #define SIZE 3 void *buffer[100]; char **strings;..
OS에서 사용하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ipcs가 있다. 보통 개발시에 등록한 공유메모리나 메시지 큐가 제대로 인식되었는지 확인하게 되는데 일단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ipcs 세마포어와 공유메모리, 메시지 큐가 순서대로 보인다. (OS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도움말을 보면 아래와 같다. ipcs --help 도움말 역시 OS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옵션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로는 현재 커널 파라메타로 입력되어 있는 임계치(limits)다. ipcs -l proc에 있는 값을 조정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OS의 기본 임계치를 아는 것은 개발에 큰 도움을 준다. 유용..
CentOS-6.4 에서 docker 관련 공부를 하고자했지만.. 어떤 이유인지 설치하고 실행하려고 해도 데몬 실행이 되지 않았다. 오류는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 된다. [root@localhost link]# docker -d WARN[0000] You are running linux kernel version 2.6.32-358.el6.x86_64, which might be \ unstable running docker. Please upgrade your kernel to 3.10.0. INFO[0000] Listening for HTTP on unix (/var/run/docker.sock) docker: relocation error: docker: symbol dm_task_get_inf..
test.cc:(.text+0x3123): relocation truncated to fit: R_X86_64_PC32 against symbol `offset' defined in .bss section test.o 흔히 나오는 에러는 아닌데 x86_64에서 .data section의 크기 limit는 2G다. (여기서 .data는 일반적으로 부르는 .data와 .bss를 합친 영역으로 보임) 일단 뭔가 메모리를 무시무시하게 잡아먹는다는 이야기. 뭘 억지로 변경해서 컴파일 되게 하려고 하지말고, (커널 파라미터 중 limit 값을 찾아서 변경한다던지...) 코드 리뷰를 통해 문제 되는 부분을 수정 하는게 낫다. dynamic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allocate 하는것도 방법인듯. PS 예제 코드 만들..
기사 링크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6219 좀 오래된(?) 떡밥이긴 한데, 여전히 문제가 되는 코드를 사용하는 곳이 많습니다.. 내용을 요약하면 "0e"로 시작하는 해시 값은 '0'과 비교할때 "==" 혹은 "!=" 로 비교시에 문제가 된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0e로 시작하는 스트링이 '0'과 같게 취급 됨) 코드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자 그럼 "240610708"과 같은 "MAGIC" NUMBER / STRING 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코드 출처를 따라가면 각종해시에 대한 "MAGIC" NUMBER / STRING 를 나열하고 있습니다. 이제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코드를 수정해야 하는데, 아래와 같은 오퍼레이터로 대체하는..
Subversion 사용을 윈도우의 TortoiseSVN으로 옮기면서 윈도우에서 만든 svn 폴더에는 리눅스의 svn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았다. 문제는 리눅스 머신에 기본설치 되어 있는 svn 버전이 낮기 때문인데.. 오류 메시지는 아래와 같다.[root@localhost trunk]# /usr/local/bin/svn infosvn: E155021: This client is too old to work with the working copy at'/root/bin/oops' (format 31).You need to get a newer Subversion client. For more details, see http://subversion.apache.org/faq.html#working-copy-..
탐색기에 Tortoise SVN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을 했을때 검색을 해보면 대부분 레지스트리를 문제 삼지만 막상 그게 문제가 아닌 경우가 더 많은것 같다. 사실 다른 툴과 충돌이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오히려 탐색기 재시작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혹시 탐색기에서 Tortoise SVN 관련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다면 탐색기를 우선 재시작해보자. 일단 실행창을 열고(단축키:win+r)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tskill explorer 그리고 다시 확인을 해보자. 아마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을까..?ㅎㅎ
다음(daum)이 카카오와 합병되면서 많은 서비스를 접고 있다. 뭐 모바일쪽에 치중하겠다는 의미기도 하고 돈이 안되는 서비스는 접는 모양이겠지.. 파리목숨 같은 서비스 중 하나가 티스토리가 아닐까 싶다. 보유하고 있는 유저의 수는 많지만, 이 서비스가 카카오를 대변하는것은 아니니까. 더욱이 성향은 다르지만 카카오스토리와도 겹치기도 하고... 이번에 반응형 스킨 #1을 내놓으면서(엄청 오랜만이지?) 티스토리 유저 마음에 희망을 주는 동시에.. 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영화와 책 정보 등을 추가하는데 쓰였던 '정보 첨부 기능(영화, 책, 공연, 상품)' 서비스를 종료했다. 엄청 치명적이지 않나.. 나름 이용하는 사람이 꽤 되었을텐데, notice에는 별로 없었단다. 언제 서비스 종료될지 모르는 파리 목숨인가.....
참고 : http://www.wired.com/2015/11/google-open-sources-its-artificial-intelligence-engine/참고 : https://www.google.co.kr/webhp?sourceid=chrome-instant&ion=1&espv=2&ie=UTF-8#q=%EA%B5%AC%EA%B8%80+%EC%9D%B8%EA%B3%B5%EC%A7%80%EB%8A%A5+%ED%85%90%EC%84%9C%ED%94%8C%EB%A1%9C 일각에서는 얼마나 더 대단한 기술을 개발했길래 텐서플로를 공개하냐며... 국내 검색엔진의 생태계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다운로드 : http://www.tensorflow.org/get_started/os_setup.md# sour..
개발 환경 때문에 호스트(윈도우)의 특정 공유 폴더를 VirtualBox(리눅스)에서 마운트해서 썼는데.. 예상치 못한 봉변을 맞이했다. 한참 VirtualBox에서 개발하다가 링크 만들 일이 있어서 대략 아래와 같은 내용을 진행했는데 오류라니...! [root@localhost bin]# ln -s /etc/vimrc ./.ln: creating symbolic link `././vimrc' to `/etc/vimrc': Operation not supported[root@localhost bin]# 좀 찾다 보니 NTFS 파일 시스템에서는 심볼릭 링크가 지원하지 않는다나 뭐라나.. 윈도우에서는 억지로 링크파일을 만들수는 있는데 리눅스에서는 해당 공유 폴더에 바로 링크를 생성하지 못하는 듯... 검색해..
윈도우 공유폴더를 마운트 해서 사용하고자 해서 samba를 설치하고 마운트해서 사용해왔었는데대용량(?)파일을 공유 폴더에 쓰다보니 마운트가 풀리고 다시 마운트가 되지 않는 증상이 나왔습니다 오류 문구는 아래와 같습니다(mount error 12 = Cannot allocate memory)[root@localhost ~]# mount -t cifs //192.168.0.10/shared_dev /root/bin --verbose -o username="User",password="testpasswd" mount.cifs kernel mount options: unc=//192.168.0.10\shared_dev,ip=192.168.0.10,ver=1,rw,username=User,pass=********..
kali linux 2.0을 설치하고 setoolket을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여러가지 toolket이 있지만 그 중 현재 가장 관심가는 mailer Attack를 테스트 해봅니다. 우선 setoolket을 실행하고..1번을 선택합니다. (Social-Engineering Attacks) 다음으로 5번을 선택합니다. (Mass Mailer Attack) 다음은 2번을 선택합니다. (E-Mail Attack Mass Mailer)1번은 한 명의 수신인을 선택하지만, 2번의 경우 미리 준비된 수신자 리스트에게 메일을 전송합니다. 미리 준비한 수신자 리스트를 저장한 파일 경로를 지정합니다.이때는 절대 경로를 입력합니다. 파일의 내부 형태는 아래처럼 개행(줄바꿈)으로 구분합니다.abc@mail.comoops@te..
디스크 용량 문제로 virtualbox의 이미지(vdi) 경로를 변경할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데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기록합니다. * 일단 아래와 같이 기존 path를 잡고 있는 디스크가 삭제 불가한 경우 * 세션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 저장된 상태는 삭제가 안되므로, "저장된 상태 삭제"를 진행합니다. * 그럼 아래와 같이 삭제 버튼이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삭제 후 새로운 경로의 이미지를 추가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 이때는 cmd 모드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을 진행합니다. cd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 * 그 후 새로운 path를 입력해줍니다. VBOXMANAGE.EXE internalcomm..
SecureCRT를 주로 사용하다가 putty로 넘어왔는데, 다소 아쉬운점이 많았습니다뭐.. 라이선스의 freeware 여부로 인한 금전적인 문제가 있다보니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겠지만요. 무료 소프트웨어인 putty도 설정을 갖추면 나름 쓸만해지는데 아래 4가지를 정리합니다. 1. 스크롤 라인 수 기본설정이 2000으로 나름 여유롭긴 하지만 신명나게 서버를 운영하던지,vim을 사용하는 경우 타이핑 이력이 스크롤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기본 스크롤 라인 수를 여유롭게 설정해서 사용하기를 권고합니다. 2. 색상 나름 본인이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 설정입니다.ANSI의 파란색 색상은 매우 짙어서 리눅스의 폴더를 표기하거나 c/c++의 include나 define을 처리하기에 매우 부적합하다고 생각이 듭니..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