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컴맹 : 진화의 시작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컴맹 : 진화의 시작

검색하기 폼
  • 전체보기.. (826) N
    • readme.md (1)
    • 사설 (11)
    • 개발 (424)
      • 개인 프로젝트 (11)
      • Linux (88)
      • Cloud (Alibaba) (4)
      • Cloud (AWS) (15)
      • Cloud (GCP) (48)
      • 기계학습 (13)
      • Network (18)
      • PHP (20)
      • python (32)
      • kubernetes (1)
      • docker (13)
      • IaC (3)
      • Apache Airflow (6)
      • Java (1)
      • Node.js (7)
      • Vue.js (2)
      • DB (30)
      • GNU Build System (3)
      • 버전관리시스템 (15)
      • Shell Script (14)
      • Compile error (9)
      • 운영체제 (16)
      • CI.CD (1)
      • tools (14)
      • UML (10)
      • Link (18)
      • 길 잃은 게시물 (12)
    • 생활 (386) N
      • 내 집 마련하기 (5)
      • 아빠일기 (0)
      • 주절주절 (172)
      • 리뷰 (60)
      • 외식 (20)
      • 책 (101) N
      • 여행 (16) N
      • 회고 (8)
      • 블로그 결산 (2)
      • 요리 (1)
      • 잡동사니 (1)
    • 비공개 (1)
      • -----아래는 비공개----- (1)
      • 코드 (0)
      • 임시 (0)
      • FS : 회사 대외비 (0)
      • Wedding : 준비 과정 (0)
      • 개인정보 (0)
  • 방명록

2021/11 (6)
서해안 해수욕장 놀러갈 때는 물때를 확인해야 합니다

아이가 태어나고 바다를 한 번도 보여준 적이 없었다. 멀미가 심해서 어디 데려가려면 퍽 고생을 해야 했기 때문인데 이번에 큰 마음먹고 근교의 바다로 가기로 결정. 당연히 철썩철썩 파도를 보여주고 싶은 마음에 바다를 검색했다. 그리고 펜션 예약까지 완료. 그런데 여행 가기 전날에 우리의 목적지인 방아머리를 검색해보니 "도착했을 때는 갯벌이었어요"라는 블로그 글이 떡하니 나왔다. 순간 아차 싶었는데 우리가 도착하는 시간이 만조인지 간조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던 것. 만조(滿潮)란 가득찰 만, 조수 조. 바닷물이 가득 찼다는 뜻이다. 바로 내가 원했던 일반적인 사람들이 생각하는 바다의 모양이다. 한편 간조(干潮)는 마를 간에 조수 조. 바닷물이 말랐다는 뜻이겠다. 지구의 자전 12시간과 달의 공전 24시간이 ..

생활/주절주절 2021. 11. 28. 14:01
K-OTT의 아쉬움 ( feat. 넷플릭스 )

이번 글에서는 한국에서 개발하고 서비스하고 있는 OTT(over-the-top media service: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아쉬운 점을 넷플릭스와 비교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OTT 선택지는 2021년 현재 정말 많아졌다. 군웅할거(群雄割據)라고 하기에는 사용자가 한 개의 서비스만 이용하지는 않는다. 마치 소셜 커머스를 여러 개 이용하는 것처럼 말이다. 자, 그럼 사용자의 선택지는 넷플릭스를 필두로 마블 코믹스를 끼고 있는 디즈니 플러스, 그리고 국내에는 왓챠, 웨이브, 티빙, 쿠팡 플레이 등. 이 외에도 정말 많다. 아마 OTT를 결제해서 보는 사람은 최소 두 개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거다. 굳이 여러 개를 결제해서 보는 이유는 서로 제공하는 콘텐츠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겠다. ..

사설 2021. 11. 26. 00:45
컨테이너 메모리 제한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제한은 아래와 같이 해줍니다. 메모리는 b, k, m, g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적용되는 메모리 제한은 hard limit입니다. 해당 메모리를 초과해서 사용하려고 하면 OOM(out of memory)이 발생됩니다. $ docker run -d -it --name local-python --memory=1g python:3.8-slim /bin/bash 한편, memory를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0으로 적용됩니다. 즉, 호스트의 메모리 전체를 공유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잘 적용되었는지는 inspect 옵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ocker inspect local-python | grep Memory "Memory": 1073741824, "KernelMemor..

개발/docker 2021. 11. 24. 07:56
[책]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

소프트웨어 스펙의 모든 것은 SRS(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이라고 하는 문서를 아주 심도있게 다룬다. SRS란 무엇인지, 왜 작성해야 하는지,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지 등 여러 예제를 통해 보여준다. 또한 성공한 프로젝트와 실패한 프로젝트에서 소프트웨어 스펙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는 아주 흥미롭다. 아마 기획문서, 설계문서, 아키텍처, 메뉴얼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어쩌면 개발자 주변에 항상 있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SRS는 이것들과 분명히 다르고 별개의 문서로 취급되어야 한다. 책의 서미에 용어에 대한 정리를 보여준다. MDR(Market Requirements Document), MRS(Market Requirements Specification), PRD(Pro..

생활/책 2021. 11. 21. 10:02
screen 빠르게 사용

한 개의 터미널에서 여러 화면을 사용해야 할 때 screen은 매우 유용합니다. 백그라운드로 돌려야 하는 작업도 " > /dev/null 2>&1 " 같은 꼬리표보다 가끔은 screen이 편할 때도 있죠. 이번 글에서는 screen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기본 커맨드를 알아봅니다. # screen 실행 screen -S sockname screen은 이름을 갖습니다. 이름으로 구분해서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죠. 보통 여러 개의 스크린을 운영할 일은 드물기 때문에 적당히 본인만의 이름을 사용해도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여기서는 sockname을 이름으로 사용했습니다. # screen 빠져나오기 Ctrl + a + d 스크린을 빠져나올 때는 위의 커맨드를 순서대로 눌러주면 됩니다. 마치 영어를 AD를 입력할..

개발/Linux 2021. 11. 15. 15:45
Redshift 슈퍼계정 이름 변경

클러스터를 생성할 때 함께 만든 슈퍼계정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우선, 계정 이름을 변경하는 쿼리는 다음과 같고 슈퍼계정 권한이 있어야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기존 계정 이름이 admin이고 이를 sysadmin으로 변경하겠다는 예제입니다 ) alter user admin rename to sysadmin; 하지만 위에 쿼리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나게 됩니다. 현재 접속한 계정의 이름을 변경할 수 없다는 내용입니다. 이 상태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1) 임시 계정(tempadmin)을 추가로 2) 임시 계정에 슈퍼계정 권한을 줍니다 3) 임시 계정으로 접속해서 기존 계정(admin)의 이름을 변경해줍니다 4) 그리고 다시 변경된 이름(sysadmin)으로 접속해서 임..

개발/Cloud (AWS) 2021. 11. 10. 15:13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 [미국] 여행 팁 - (feat. 마이애미)
  • [책] 데이터 품질의 비밀
  • 개발자 취업을 희망하시는 분들께 드리는 제언
  • [책] FastAPI를 사용한 파이썬 웹 개발
최근에 달린 댓글
  • 감사합니다. 해피해킹은 잘 쓰고 있습니다. :D
  • 해피해킹 아직 쓰고 계신가요? :) 그리고 위의 글 ⋯
  •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 와 감사합니다. 저도 비슷한 이슈가 있어서 뭔가 했는데⋯
글 보관함
  • 2023/05 (2)
  • 2023/04 (2)
  • 2023/03 (5)
  • 2023/02 (9)
  • 2022/12 (2)
Total
1,844,090
Today
151
Yesterday
524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